티스토리 뷰

넷플릭스 오리지널  [소년의 시간] (Adolescence)은 영국 드라마로 단 4부작이라는 짧은 구성에도 전 세계 시청자를 충격에 빠뜨린 심리 스릴러입니다.

13세 소년 제이미 밀러가 동급생을 살해한 혐의로 체포되면서 시작되는 이야기는 사건 자체를 넘어 사회의 근본적 병폐—학교 폭력, 인셀 문화, 젠더 갈등, 디지털 고립—를 정면으로 조명합니다.

한 번 보면 시선이 고정되고, 끝나고 나면 질문이 머릿속을 맴도는 작품입니다.

 

 

📌 아래 본문 내용은 스포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드라마 기본 정보

 

제목 소년의 시간 (Adolescence)
장르 심리 스릴러, 청소년, 사회 비판 드라마
공개일 2025.03.13
회차 총 4부작
감독 필립 바랜티니
제작/각본 잭 손, 스티븐 그레이엄
촬영 매튜 루이스
출연진 오웬 쿠퍼, 스티븐 그레이엄, 애슐리 월터스, 에린 도허티 
OTT 넷플릭스

 

 

 

 

 

 

소년의 시간 포스터

 

 

출연진과 몰입감 높은 연기력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의 시간]이 깊은 울림을 주는 데는 배우들의 탁월한 연기도 큰 역할을 합니다. 신예와 중견 배우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며 그들이 느끼는 감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몰입하게 합니다. 

주인공 제이미 밀러 역의 오웬 쿠퍼는 정식 데뷔작임에도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제이미라는 인물의 고립감과 분노, 불안정한 심리를 눈빛과 표정만으로 깊이 있게 표현해 냅니다. 

3화 심리상담사와의 대면 장면에서 감정의 폭이 넓고, 절제와 폭발을 오가는 연기는 그야말로 압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버지 에디 밀러 역의 스티븐 그레이엄은 평범한 부모의 절망과 혼란을 진솔하고 압도적인 감정으로 전달, 이 가족 서사의 중심을 든든하게 받쳐줍니다. 그는 짧은 대사에도 감정을 쌓아가며 죄책감과 후회, 무너져가는 가족의 일상을 유지하고 받아들이는 모습을 고통스럽게 보여줍니다.

그 외에도 조연 배우들의 연기력이 드라마의 사실성을 끌어올립니다.

형사 역 애슐리 월터스, 심리 상담사 역 에린 도허티도 각각 사건을 추적하고 내면을 분석하는 핵심 인물로 그들 각자의 시선으로 제이미라는 소년을 입체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제공합니다. 이들이 보여주는 현실적인 대사 톤과 표정은 극의 몰입감을 한층 높여줍니다. 

이 드라마는 원테이크 촬영 기법으로 유명한데, 이는 배우들에게도 큰 부담이자 도전이었습니다. 카메라가 중단 없이 인물의 감정을 따라가는 방식은 모든 배우가 장면 전체를 유기적으로 이끌어가야 하는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합니다.

특히 감정의 변화가 많은 제이미 역의 오웬 쿠퍼는 장면 전체를 감정선의 흐름에 맞게 끌고 가야 했고, 그는 이 어려운 조건에서도 흠잡을 데 없는 연기를 선보였습니다.

 

 

소년의 시간 예고편

 

 

 

원테이크 촬영의 몰입 효과

 

특히 전편이 원테이크(long‑take) 방식으로 촬영되어 긴장감과 몰입감을 극대화한 연출 방식은 모든 장면이 한 번의 컷으로 이어지며 관객은 마치 사건 현장 한가운데 있는 듯한 생생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1화의 경찰 급습장면이나 제이미가 구금되는 장면을 동선 그대로 따라가며 보여주는 장면은 금세 현장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합니다.

실제 사건처럼 진행되는 3화의 심리 상담 장면은 약 1시간 동안 이어져 제이미의 내면세계를 한 겹 씩 벗겨내며 숨 막히는 압도를 선사합니다.

배우들의 호흡, 카메라의 움직임, 동선과 감정선이 한순간도 끊기지 않고 이어지는 이 연출은 단순한 기술적 도전이 아니라, 이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리얼리티를 고스란히 체험하게 하며 마치 우리가 사건의 현장을 옆에서 목격하는 것처럼 심리적인 충격을 줍니다.

 

 

소년의 시간 원테이크 촬영비하인드

 

 

 

인셀 문화와 사회 메시지

 

이 드라마에서 가장 인상적인 주제 중 하나는 ‘ 인셀(Incel)’이라는 단어입니다.

인셀(Involuntary Celibate) 은 ‘비자발적 독신자’를 뜻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용어로, 젠더 혐오 및 극단적인 여성 혐오 성향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년의 시간]은 이런 개념을 청소년의 언어와 맥락 속에 집어넣어, 학교 폭력과 온라인 커뮤니티, 그리고 왜곡된 정체성이 어떻게 결합되어 위험한 사고로 발전하는지를 조명합니다.

가해자 소년은 단순히 나쁜 아이가 아닙니다. 그 역시 외면당하고 고립된 존재이며 사회가 만든 괴물일지도 모릅니다. 누군가에겐 단지 ‘장난’이었을지도 모를 행동이 누군가에겐 평생의 트라우마가 되고 사회 전체를 흔드는 파장이 된다는 사실을 이 드라마는 철저히 묘사합니다.

 

 

소년의 시간

 

 

실화 기반 여부

 

[소년의 시간]은 특정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고 공식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시청자들 사이에선 ‘실화 기반 아니냐’는 반응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 작품은 특정 실제 사건을 그대로 옮긴 것은 아니지만, 2019년 런던 청소년 살인 사건 등 실제 발생한 사례들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는 바로 이야기 구조와 등장하는 대사, 전개 방식이 현실과 지나치게 닮아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포되는 혐오성 발언,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엇갈린 진술, 그리고 교내에서 발생한 사건을 대하는 어른들의 무책임한 태도 등은 뉴스에서 자주 보던 내용들입니다.

이러한 사실 기반의 정서가 드라마의 리얼리티를 더욱 강화합니다. 마치 누군가의 실제 이야기, 혹은 내가 다녔던 학교에서 일어났던 일이 그대로 재현된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시청 후 남는 여운이 큽니다.

실화를 직접 다루지 않았다고 해도, 이 드라마는 분명히 현대 사회 청소년 문제의 ‘진짜 얼굴’을 드러낸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추천하는 이유

 

넷플릭스 [소년의 시간]은 청소년이라는 존재가 단순히 ‘미성숙한 어른’이 아님을 보여주며 그들의 세계가 얼마나 복잡하고 무거운지를 날카롭게 포착한 작품입니다.

원테이크 촬영이 보여주는 리얼리즘, 인셀이라는 현대적인 이슈, 현실과 맞닿은 서사 구조, 그리고 심리적 폭력의 진실까지. 이 모든 요소들이 결합되어 단 한 편의 드라마로 강력한 울림을 남깁니다.

만약 학교 폭력, 청소년 문제, 디지털 시대의 정체성 혼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보고 싶다면, 이 드라마는 그 어떤 다큐보다 진실할 것입니다.

지금 바로 넷플릭스에서 [소년의 시간]을 시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심리 스릴러 및 사회 문제를 다룬 드라마를 선호하는 분
  • 청소년 범죄와 디지털 문화를 이해하고 싶은 분
  • 몰입감있는 원테이크 연출을 경험하고 싶은 분

지금 바로 넷플릭스에서 [소년의 시간]을 감상해 보세요